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602

[Kotlin] 코틀린 제어흐름(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Kotlin 제어 흐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제어 흐름은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구문을 구분한 것입니다. a가 5이고, b가 10일 때를 가정해보죠 if( a > b ) { println("a가 b보다 크다") } else { println("a가 b보다 작다") } 이렇게 되었을 때 else 구문에 있는 "a가 b보다 작다"가 출력됩니다. if ~ else보다 더 세부적으로 경우를 나누는 else if 도 있습니다 if( a > b) { println("a가 b보다 크다") } else if( a < b) { println("a가 b보다 작다") } else if(a == b) { println("a와 b는 같다") } else { } 값을 리턴하는 if문도 있습니다. 이렇게.. 2021. 3. 28.
[Kotlin] 코틀린 연산자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코틀린 연산자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산자의 종류 산술 연산자 대입 연산자 복합 대입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1) 산술 연산자 : +, -, *, /(몫), %(나머지) (2) 대입 연산자 : 좌변 = 우변 (우변 값이 좌변에 들어간다) ex) var num = 20 (O), var 5 = a (X) (3) 복합 대입 연산자 : +=, -=, *=, /=, %= ex) a += 10 -> a= a+ 10 (4) 증감 연산자 : ++, -- ex) a++, a-- (5) 비교 연산자 : >, >=, False ex) True != True -> False ex) True != False -> True (6) 논리 연산자 : &&, ||, ! ex).. 2021. 3. 28.
[프로그래머스 / java] 최댓값과 최솟값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스 레벨 2 문제인 최댓값과 최솟값을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문자열 s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숫자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str에 나타나는 숫자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찾아 이를 "(최소값) (최대값)"형태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s가 "1 2 3 4"라면 "1 4"를 리턴하고, "-1 -2 -3 -4"라면 "-4 -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건 s에는 둘 이상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1 2 3 4" "1 4" "-1 -2 -3 -4" "-4 -1" "-1 -1" "-1 -1" ※ 문제 접근 방식 (1) 문자열을 먼저 " " 단위로 split합니다 (2) for문을 만들어 " " .. 2021. 3. 28.
[프로그래머스 / java] 숫자의 표현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스 Level.2 문제인 숫자의 표현을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Finn은 요즘 수학공부에 빠져 있습니다. 수학 공부를 하던 Finn은 자연수 n을 연속한 자연수들로 표현 하는 방법이 여러개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들어 15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1 + 2 + 3 + 4 + 5 = 15 4 + 5 + 6 = 15 7 + 8 = 15 15 = 15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연속된 자연수들로 n을 표현하는 방법의 수를 return하는 solution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은 10,000 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입출력 예 n result 15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 문제 접근 방식 (1.. 2021. 3. 28.
[Kotlin] 코틀린 메서드(함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Kotlin에서 사용하는 메서드를 알아보겠습니다. 함수 : 어떤 input을 넣어주면 어떤 output이 나오는 것 ※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 fun 함수명(변수명: 타입, 변수명: 타입 ...) : 반환형 { 함수 내용 return 반환값 } 다음은 더하기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fun plus(first: Int, second: Int) : Int { println(first) println(second) var result: Int = first + second println(result) return result } 다음은 디폴트 값을 갖는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fun plusFive(first: Int, second: Int=5) : Int { var result.. 2021. 3. 28.
[프로그래머스/java] Summer/Winter Coding(~2018) 소수 만들기 - 에라스토테네스의 체 사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스 레벨 1 문제 중 "찾아라 프로그래밍 마에스터Summer/Winter Coding(~2018)" 문제인 소수 만들기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제한사항 nums에 들어있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상 50개 이하입니다. nums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중복된 숫자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ums result [1,2,3,4] 1 [1,2,7,6,4] 4.. 2021. 3.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