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 프로젝트 생성하기
Create New Project 클릭
Activity를 고를 때 프로젝트의 첫 화면을 고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Empty Activity를 많이 사용하지만
다른 Activity를 사용하면 소스 코드가 그 화면에 맞게 완성되어서 나온다.
Package name은 앱과 앱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므로, 전세계적으로 유일해야한다.
Language가 Kotlin이어도 java로 코딩할 수 있다.
※ Help me choose
4.1을 고르면 4.1버전 이상을 다 지원한다는 뜻이다.
Marshmallow 버전을 선택하면 웬만한 어플리케이션은 다 지원될 것이다.
>> Finish 누르고 다음
File > Settings 클릭
Build, Execution, Deployment에서 Deployment 클릭
전부 다 체크 후 Apply > OK
>> 소스코드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변경을 반영해주는 기능
만약 ▶ 버튼을 눌러도 가상 에뮬레이터가 실행이 안되면 AVD Manager를 열어서
기계를 선택 후 추가해준다.
좌측 하단에 Create Virtual Device 클릭
기계 선택 후 Next
필요한 버전 다운로드 후 Next
내가 만든 앱이 네트워크가 느린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려면
Show Advanced Settings를 눌러서 Speed를 조정하면 된다.
AVD 이름 정한 후 Finish
실제 핸드폰을 연결해서 사용해보고 싶은 경우,
핸드폰을 개발자모드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된다
에뮬레이터가 동작하는 모습이다.
'모바일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코틀린 제어흐름(2) - when 구문 (0) | 2021.03.30 |
---|---|
[Kotlin] 코틀린 제어흐름(1) (0) | 2021.03.28 |
[Kotlin] 코틀린 연산자 (0) | 2021.03.28 |
[Kotlin] 코틀린 메서드(함수) (0) | 2021.03.28 |
[Kotlin] 코틀린이란?, 코틀린의 변수와 자료형 (0) | 2021.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