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커밋2 [Spring] 트랜잭션 개념 적용 예제 이전 포스팅에서 DB 트랜잭션과 락에 대해서 살펴봤다. DB 개념을 적용하여 트랜잭션을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한번 살펴보자. DB 트랜잭션을 사용해서 계좌이체 같이 원자성이 중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보자 MemberServiceV1.javapackage hello.jdbc.service;import hello.jdbc.domain.Member;import hello.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import java.sql.SQLException;@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MemberServiceV1 { private final .. 2024. 12. 23. [Spring] 트랜잭션 이해 - 트랜잭션 개념 트랜잭션 - 개념 이해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단순히 파일에 저장해도 되는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바로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을 이름 그대로 번역하면 거래라는 뜻이다. 이것을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뜻한다.그런데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려면 생각보다 고려 해야 할 점이 많다.예를 들어서 A의 5000원을 B에게 계좌이체한다고 생각해보자. A의 잔고를 5000원 감소하고, B의 잔고를 5000원 증가해야한다. 5000원 계좌이체1. A의 잔고를 5000원 감소2. B의 잔고를 5000원 증가 계좌이체라는 거래는 이렇게 2.. 2024. 12.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